조선 시대 - 조선의 정치 - 태조~성종

BACK
광고배너
 
태조 이성계와 정도전 해설보기
  • 태조 이성계는 조선 건국 후 수도를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하였다.
  • 삼봉 정도전은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을 주도하였으며, 한양 도성의 기본 계획을 세웠다.
  • 한양 도성에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, 공자를 모시는 사당인 , 토지와 곡식의 신을 모시는 사직을 두고 제사를 지냈다.
  • 삼봉 정도전은 유교적 통치 규범을 확립하기 위해 “불씨잡”을 지어 불교를 비판하였다.
  • 삼봉 정도전은 최초의 법전인 “조선경국”을 저술하였다.
  • 삼봉 정도전은 재상 중심의 정치를 주장한 “경제문감”을 저술하였다.
태종 이방원 해설보기
  • 태종은 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을 통해 즉위하였다.
  • 태종은 공신과 왕족의 을 혁파하여 군사권을 강화하였다.
  • 태종은 문하부 낭사를 분리하여 사간으로 독립시켰다.
  • 태종은 6조의 업무를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6조 직계를 처음 실시하였다.
  • 태종은 여진족을 회유하기 위해 국경 지역인 경성과 경원에 무역를 설치하였다.
  • 태종은 백성의 유망을 막기 위해 16세 이상의 남자들에게 를 발급하였다.
  • 태종은 조세 징수를 위해 토지 조사 사업인 사업을 실시하였다.
  • 태종은 의 토지를 몰수하여 국가에 귀속시켰다.
  • 태종은 백성의 억울함을 풀고자 신문를 처음 설치하였다.
  • 태종은 주자소를 설치하여 계미를 주조하였다.
  • 태종 때 세계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제작되었다.
세종 해설보기
  • 세종은 6조의 업무를 의정부에서 논의한 후 국왕에게 보고하도록 하는 의정부 서사를 시행하였다.
  • 세종은 전세액을 토지의 비옥에 따라 6등급, 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눠 차등 부과하는 을 시행하였다.
  • 세종은 학문 연구 기관인 집현을 설치하여 인재를 육성하고 편찬 사업을 추진하였다.
  • 세종 때 우리 풍토에 맞는 농사법을 보급하기 위해 농사직설을 편찬하였다.
  • 세종 때 한양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계산한 역법서인 칠정이 편찬되었다.
  • 세종 때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한 향약집성이 편찬되었다.
  • 세종 때 충신, 효자 등의 행적을 수록한 삼강행실도가 편찬되었다.
  • 세종은 독창적인 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.
  • 세종은 개량된 금속 활자인 갑인를 주조하여 활자 인쇄술을 발전시켰다.
  • 세종 때 시간을 스스로 알리는 시보 장치인 자격, 해시계인 앙부일구,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는 기구인 ・간의,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 기구인 측우, 화살을 연발하는 로켓 추진 병기인 신기이 제작되었다.
  • 세종 때 이종무를 보내 왜구의 소굴인 대마를 정벌하였다.
  • 세종 때 일본과의 무역을 위해 부산포, 제포, 염포의 를 개항하였다.
  • 세종 때 일본인 체류지와 무역량을 제한한 계해약조를 체결하였다.
  • 세종 때 여진을 정벌하여 4 6을 개척하고, 남도 주민을 국경 지대로 이주시키는 사민 정책을 시행하였다.
  • 세종 때 여진족 사절을 위해 한양에 북평을 개설하고 조공 무역을 허용하였다.
문종, 단종 해설보기
  • 단종 때 수양대군(세조)이 계유정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였다.
세조 해설보기
  • 세조는 6조의 판서가 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6조 직계를 시행하였다.
  • 세조는 집현을 폐지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.
  • 세조는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하는 직전을 실시하였다.
  • 세조는 경국대전 편찬을 시작해 호전과 형전을 완성하였다.
  • 세조는 간경도감을 설치해 불교 경전을 간행하였다.
  • 세조가 함경도에 지방관을 파견해 중앙 통제를 강화하자 등의 토착 세력이 난을 일으켰다.
성종 해설보기
  • 성종은 집현전을 계승한 홍문을 설치하여 왕의 자문과 을 담당하게 하였다.
  • 성종은 훈구파를 견제하기 위해 김종직 등 사림를 등용하였다.
  • 성종 때 국가의 의례를 정비한 국조오례가 완성되었다.
  • 성종 때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반포하여 국가 통치 규범을 마련하였다.
  • 성종 때 각 도의 지리, 풍속 등이 수록된 “동국여지승람”이 간행되었다.
  • 성종 때 역대 시문을 모은 문집인 “동문”이 간행되었다.
  • 성종 때 고조선에서 고려까지의 역사를 정리한 “동국통감”을 간행하였다.
  • 성종 때 음악 이론 등을 집대성한 “악학궤범”이 간행되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