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 시대 - 조선의 정치 - 연산군~명종

BACK
광고배너
 
연산군 해설보기
  • 연산군 때 김종직이 쓴 의제을 김일손이 에 기록한 것이 발단이 되어 김일손, 김굉필 등 신진 사류가 화를 입는 무오사화가 발생하였다.
  •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사사 사건의 전말이 알려져 김굉필 등이 처형되는 갑자사화가 발생하였다.
중종과 조광조 해설보기
  • 두 차례의 사화 이후 연산군의 폭정이 계속되자 훈구 세력은 반정을 일으켜 연산군을 내쫓고 을 옹립하였다.
  • 중종은 훈구파 견제를 위해 광조 등의 사림을 등용하였다.
  • 조광조는 유교 정치의 실현을 위해 의 보급을 주장하였다.
  • 조광조는 의 개선을 위한 수미법을 주장하였다.
  • 조광조는 도교 행사를 주관하는 관청인 소격서를 혁파하였다.
  • 조광조는 새로운 인사의 등용을 위해 현량를 실시하였다.
  • 조광조는 중종반정 때 거짓으로 공신록에 등록된 자를 공신록에서 삭제하는 위훈 삭제 사건을 일으켰다.
  • 위훈 삭제에 대한 훈구 세력의 반발로 기묘사화가 발생하여 조광조 등의 신진 사류가 제거되었다.
명종 해설보기
  • 명종 때 외척인 대윤과 소윤의 권력 다툼으로 을사사화가 발생하여 대윤 윤임 일파가 제거되고 소윤 윤원형을 비롯한 외척 세력이 정국을 주도하였다.
  • 명종 때 경기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백정 출신 임꺽정이 난을 일으켰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