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국·남북국 시대 - 고대의 정치 - 신라

BACK
광고배너
 
신라의 성립(1~4세기) 해설보기
  • 신라 초기에는서간, , 등의 왕호가 사용되었다.
  • 신라 초기에 의 3성이 교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.
  • 내물왕은 에 의한 왕위 계승권을 확립하였다.
  • 내물왕은 마립이라는 왕호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.
5세기 신라 - 눌지마립간, 소지마립간 해설보기
  • 눌지 마립간은 장수왕의 남진 정책에 대비해 백제의 비유왕과 나제 동맹을 맺었다.
  • 장수왕이 죽자 소지마립간은 백제 동성왕과 혼 동맹을 맺었다.
6세기 신라 - 지증왕 해설보기
  • 지증왕은 국호를 신라로 확정하고 지배자의 칭호를 마립간에서 으로 고쳤다.
  • 지증왕은 이사부를 보내 우산을 정벌하였다.
  • 지증왕 때 수도에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인 동시을 설치하였다.
  • 지증왕 때 소를 이용한 우경이 널리 보급되었다.
  • 지증왕은 을 금지하였다.
  • 지증왕은 국내의 주군현을 정하고 방 제도를 정비하였다.
6세기 신라 - 법흥왕 해설보기
  • 법흥왕은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다.
  • 법흥왕은 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.
  • 법흥왕은 를 설치하여 군사력을 강화하였다.
  • 법흥왕은 신라의 최고 관직인 상대을 설치하였다.
  • 법흥왕은 을 반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.
  • 법흥왕은 금관가야를 병합하고 일부 왕족을 신라의 진골로 편입하였다.
6세기 신라 - 진흥왕 해설보기
  • 진흥왕은 남한강 상류 지역으로 진출한 후 단양 적성비를 세웠다.
  • 진흥왕 때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 이 전사하였다.
  • 진흥왕은 한강 유역을 정복한 후 북한산 순수비를 건립하였다.
  • 진흥왕은 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장악하였다.
  • 진흥왕은 함경도 일부 지역까지 진출하여 초령·운령 순수비를 세웠다.
  • 진흥왕 때 한강을 차지한 후 당항을 통해 중국과 직접 교류하였다.
  • 진흥왕은 거칠부에게 역사서 국사를 편찬하게 하였다.
  • 진흥왕 때 화랑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정비하였다.
7세기 신라 - 나당 연합 결성 해설보기
  • 선덕 여왕 때 합천 대야이 함락되자 춘추가 고구려로 건너가 구원 요청을 하였다.
  • 선덕 여왕 때 의 건의로 황룡사 9층 목탑이 건립되었다.
  • 진덕 여왕 때 춘추의 건의로 집사를 설치하고 장관을 중시라고 하였다.
  • 진덕 여왕은 출신으로 왕이 된 마지막 인물이다.
  • 진덕 여왕 때 춘추가 당에 건너가 당 태종으로부터 군사 원조를 약속받았다.
7세기 신라 - 삼국 통일 해설보기
  • 진덕 여왕 뒤를 이어 김춘추가 출신으로 처음 즉위하였다.
  • 무열왕 때 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이 황산에서 의 백제군을 물리쳤다.
  • 문무왕 때 나·당 연합군은 백제 부흥 운동 세력과 왜의 연합군을 백강 전투에서 물리쳤다.
  • 문무왕 때 나·당 연합군이 고구려 평양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.
  • 문무왕은 의 왕으로 임명하여 고구려 부흥 운동을 지원하였다.
  • 문무왕은 매소기벌에서 당의 군대를 물리쳐 당의 세력을 대동 이남에서 축출하고 삼국 통일을 이루었다.
  • 문무왕은 지방관을 감찰하기 위하여 외사을 설치하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