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국·남북국 시대 - 고대의 정치 - 통일 신라

BACK
광고배너
 
신라 중대 - 신문왕 해설보기
  • 신문왕은 흠돌의 난을 진압하여 귀족들을 대거 숙청하고 전제 왕권을 강화하였다.
  • 신문왕은 관리들에게 관료을 지급하고 을 폐지하였다.
  • 신문왕은 전국을 9로 나누고, 수도가 동남쪽에 치우친 지리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5소경을 설치하였다.
  • 신문왕은 중앙군으로 9서당, 지방군으로 10의 군사 조직을 갖추었다.
  • 신문왕은 국학을 설립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.
  • 신문왕은 아버지 문무왕을 위해 감은를 건립하였다.
  • 설총이 신문왕에게 화왕를 올렸다.
  • 신문왕 때 만파식 설화가 전해진다.
신라 중대 – 성덕왕, 경덕왕, 헤공왕 해설보기
  • 성덕왕 때 백성에게 을 지급하였다.
  • 성덕왕 때 가장 오래된 범종인 원사 동종이 제작되었다.
  • 경덕왕은 9주의 명칭 등 지방 행정 구역의 명칭을 중국으로 바꾸었다.
  • 경덕왕은 국학을 태학으로 변경하여 유교 교육을 강화하였다.
  • 경덕왕은 관리들에게 다시 을 지급하였다.
  • 경덕왕 때 김대건이 불국석굴을 건립하였다.
  • 혜공왕 때 덕 대왕 신종이 완성되었다.
  • 김지정의 난으로 혜공왕이 피살되면서 춘추 직계 후손의 왕위 계승이 단절되었다.
신라 하대의 정치(반란 사건) 해설보기
  • 헌덕왕 때 웅천주 도독 김헌창이 아버지가 왕이 못된 것에 원한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.
  • 장보고는 청해을 설치하여 남해와 황해의 해상 무역권을 장악하고, 중국 산둥 지역에 법화을 세웠다.
  • 장보고가 왕위 쟁탈전에 가담하여 신무왕을 왕위에 올렸으나, 딸이 왕비로 받아들여지지 않자 청해을 거점으로 반란을 도모하였다.
  • 진성 여왕은 각간 위홍과 대구 화상에게 향가집인 삼대을 편찬하게 하였다.
  • 진성 여왕 때 종과 애노의 난, 적고적의 난 등 농민 반란이 일어났다.
  • 치원은 진성 여왕에게 시무책 10여 조를 건의하였다.
신라 하대의 사회 특징 해설보기
  • 신라 하대에는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이 약화되고, 지방에서 호족들이 반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였다.
  • 신라 하대에 지방의 호족들이 스스로 , 이라 칭하였다.
  • 신라 하대에 6두품 세력은 과 연계를 도모하고 골품제를 비판하며 새로운 정치 이념을 제시하였다.
  • 신라 하대에는 참선을 중시하는 의 유행으로 이 많이 제작되었다.
  • 신라 하대에 호족의 후원으로 9산 선문이 개창되었다.
  • 신라 하대에 도선이 전래한 풍수지리이 예언적인 도참사상과 결합해 유행하였다.
  • 신라 하대에 활동한 최치원의 저서로 계원필경, 황소격문, 해인사 묘길상탑기 등이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