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국·남북국 시대 - 고대의 통치 제도 및 사회

BACK
광고배너
 
고구려의 통치 제도 및 사회 해설보기
  • 고구려 태조왕은 계루부 의 왕위 독점 세습 체제를 확립하였다.
  • 고구려 고국천왕은 부족적 전통의 5부를 행정적 5부로 개편하였다.
  • 고구려 고국천왕은 을파소의 건의로 빈민 구휼책인 진대을 실시하였다.
  • 고구려는 제가 회의에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였다.
  • 고구려는 지방의 여러 성에 , 처려근지 등을 두었다.
백제의 통치 제도 및 사회 해설보기
  • 백제 고이왕은 6좌평 16관등제를 정비하였다.
  • 백제 고이왕은 복색을 달리한 을 제정하였다.
  • 백제 무령왕은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.
  • 백제 성왕은 수도를 5, 지방을 5으로 정비하였다.
  • 백제는 왕족인 부여8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.
  • 백제의 귀족은 정사암 회의를 통해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였다.
  • 백제의 지배층은 투호와 , 장기를 오락으로 즐겼다.
  • 백제는 중국 와 주로 교류하면서 귀족 문화가 발전하였다.
신라의 통치 제도 및 사회 해설보기
  • 신라 골품는 관등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생활까지 규제하는 엄격한 신분제였다.
  • 신라의 6두품은 신라 말기 지방의 반독립 세력인 호족과 연계하여 사회 개혁을 추구하기도 하였다.
  • 신라 화랑도는 진흥 때 국가적인 조직으로 정비되었다.
  • 신라 화랑도는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을 조절하고 완화하는 역할을 하였으며, 원광의 세속 5계를 배웠다.
  • 신라의 귀족 회의 기구인 화백 회의는 만장일치제로 운영되었으며, 국왕과 귀족 간의 권력을 조정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.
  • 신라 법흥왕은 를 설치하여 군사력을 강화하였다.
  • 신라 법흥왕은 신라의 최고 관직인 상대을 설치하였다.
  • 신라 진덕 여왕 때 김춘추의 건의로 왕의 명령을 집행하는 집사가 설치하고 장관을 중시라고 하였다.
  • 신라 신문왕은 전국을 9로 나누고, 수도가 동남쪽에 치우친 지리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5소경을 설치하였다.
  • 신라 신문왕은 중앙군으로 9서당, 지방군으로 10의 군사 조직을 갖추었다.
발해의 통치 제도 및 사회 해설보기
  • 발해의 주민은 고구려 유민갈인으로 구성되었으며, 고구려인이 지배층의 핵심을 이루었다.
  • 발해는 중앙 정치 조직으로 당의 제도를 모방한 3성 6부를 두었다.
  • 발해는 당성의 장관인 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.
  • 발해는 중앙 6부의 명칭을 유교으로 정하였다.
  • 발해는 관리 감찰을 위해 중정를 설치하였다.
  • 발해는 주자을 설치하여 유교 경전을 교육하였다.
  • 발해는 5경 15부 62주의 지방 행정 조직을 확립하였다.
  • 발해는 중앙군으로 10를 두고 왕궁과 수도를 경비하게 하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