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국·남북국 시대 - 고대의 문화

BACK
광고배너
 
고대의 교육 기관 해설보기
  • 고구려는 수도에는 유교를 가르치는 태학과, 지방에는 한자와 무술을 가르치는 경당을 설치하였다.
  • 신라 신문왕은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국학을 설립하였다.
  • 신라 경덕왕은 국학을 태학으로 바꾸고 를 두고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.
  • 신라 원성왕 때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독서삼품 제도를 마련하였다.
  • 신라 독서삼품과는 국학생을 대상으로 ·효경 등을 기본적인 시험 과목으로 삼았다.
  • 발해는 주자을 설치해 유교 교육을 하였다.
고대 한학의 발달 해설보기
  • 백제는 5경 박사와 의박사 등이 유교 경전과 기술학을 가르쳤다.
  • 백제의 사택지적비를 통해 백제의 높은 한문학 수준을 알 수 있다.
  • 신라의 임신서기석을 통해 청소년들이 유교 경전을 공부했음을 알 수 있다.
  • 신라의 김대문은 진골 출신으로 화랑세기, 고승전, 한산기 등을 저술하였다.
  • 신라의 강수는 외교 문서 작성에 능하여 청방인문를 집필하였다.
  • 신라의 설총은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한 이두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.
  • 신라의 설총은 국왕에게 조언하는 내용의 화왕를 저술하였다.
  • 최치원은 신라 6두품 출신의 도당 유학생으로 계원필경, 황소격문 등을 저술하였다.
  • 최치원은 사회를 개혁하고자 진성 여왕에게 시무책 10여 조를 올렸다.
고대의 역사서 편찬 해설보기
  • 백제 근초고왕 때 고흥이 「서기」를 편찬하였다.
  • 신라 진흥왕 때 거칠부가 「국사」를 편찬하였다.
  • 고구려 영양왕 때 이문진이 「유기」를 간추린 「신집」 5권을 편찬하였다.
고대의 불교 전래 해설보기
  • 고구려의 불교는 소수림의 승려 순도가 전래하여 공인되었다.
  • 백제의 불교는 의 승려 마라난타가 전래하여 공인되었다.
  • 신라의 불교는 눌지 마립간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가 전래하고, 법흥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공인되었다.
고대 불교 사상의 발달 해설보기
  • 원효는 종파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자 심사상쟁사상을 주장하였다.
  • 원효는 무애를 만들어 불교 대중화에 힘썼다.
  • 원효는 누구나 나무 아미타불만 외우면 극락정토에 간다는 토 신앙아미타 신앙을 전파하여 불교 대중화에 기여하였다.
  • 원효는 대승기신론소, 십문화쟁을 저술하였다.
  • 의상은 당 유학 후 귀국하여 화엄을 개창하였다.
  • 의상은 영주 부석, 양양 낙산사 등을 창건하여 화엄의 중심 사찰로 삼았다.
  • 의상은 모든 존재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설명한 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였다.
  • 의상은 고통받는 백성을 구제하고자 하는 관음 신앙을 강조하였다.
  • 혜초는 인도와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의 풍물을 기록한 왕오천축국을 저술하였다.
  •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은 프랑 사람이 둔황의 천불동 동굴에서 발견하였다.
신라 하대 선종의 유행 해설보기
  • 선종은 과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자 하였다.
  • 신라 말 선종의 유행으로 이 많이 제작되었다.
  • 신라 말 지방 의 후원으로 9산 선문이 개창되었다.
고대의 도교, 풍수지리 해설보기
  • 고구려 강서대묘의 사신는 도교의 방위신을 그린 것이다.
  • 고구려 개소문이 반대 세력을 견제하고자 도교를 장려하였다.
  • 백제의 산수무늬 벽돌, 금동대향로에는 도교 사상이 반영되었다.
  • 백제 금동대향로는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되었다.
  • 신라 화랑도는 도교 사상이 반영된 , 로 불렸다.
  • 신라 말기 이 전래한 풍수지리는 지방 의 성장에 기여하였다.
고대의 고분 – 고구려, 발해 해설보기
  • 고구려 고분은 초기 무지무덤에서 점차 돌로 널방을 짜고 흙으로 봉분을 만든 굴식 돌방무덤으로 변화해 갔다.
  • 고구려 굴식 돌방무덤의 천장과 벽에 벽화가 많이 그려져 있어 당시 고구려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.
  • 고구려 강서대묘의 사신도는 의 영향을 받았다.
  • 고구려 굴식 돌방무덤의 천장은 모줄 구조로 되어 있다.
  • 발해 정혜 공주 묘는 모줄임 천장 양식의 굴식 돌방무덤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.
고대의 고분 – 백제, 신라 해설보기
  • 백제 한성 시기에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계단식 무지무덤이 만들어졌다.
  • 백제 무령왕릉은 시기에 축조된 무덤으로 중국 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이다.
  • 백제 무령왕릉에서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묘지, 금제관식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.
  • 신라의 거대한 돌무지 덧널무덤은 삼국 통일 이전에 주로 만들어졌다.
  • 신라의 돌무지 덧널무덤은 이 어려워 금관, 천마도 등 많은 껴묻거리가 출토되었다.
  • 통일 신라 때 굴식 돌방무덤이 유행하고, 봉분 하단부에 12지 신상을 조각한 둘레이 설치되었다. 대표적 무덤으로 신 묘가 있다.
고대의 탑 해설보기
  • 백제 무왕은 익산 미륵를 건립하고,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이는 미륵사지 석탑을 세웠다.
  • 백제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복원 과정에서 금제 사리 안기가 나왔다.
  • 백제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목탑 양식의 석탑이며, 당이 백제를 멸망시킨 내용을 새겨 놓아 으로 불린다.
  • 신라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은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석탑으로 현존하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다.
  • 신라 경주 황룡사 9층 목탑은 선덕 여왕 때 의 건의로 세워졌으며, 고려 때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.
  • 신라 중대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은 감은사지 3층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였다.
  • 신라 중대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리니경이 발견되었다.
  • 신라 중대 양양 전사지 3층 석탑은 기단과 탑신에 불상이 돋을새김으로 표현되어 있다.
  • 신라 말 의 유행으로 승려의 사리를 봉안하는 조형물인 이 많이 제작되었다.
고대의 불상 해설보기
  • 삼국 시대 고구려의 불상으로 광배 뒷면에 명문 ‘연가 7년’이 새겨진 금동 연가 7년명 좌상이 있다
  • 삼국 시대 백제의 서산 애 여래 삼존상백제의 미소라고 불린다.
  • 삼국 시대 신라의 불상으로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존 입상이 있다.
  •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의 불상으로 경주 석굴암 본존불상이 있다.
  • 남북국 시대 발해의 이불좌상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불상이다.
고대 문화의 일본 전파 해설보기
  • 고구려 승려 은 호류 사 금당 벽화를 그렸으며, 종이 먹을 만드는 기술을 전파하였다.,
  • 고구려 승려 는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.
  • 백제 학자 은 일본에 천자문과 논어를 가르쳤다.
  • 백제 승려 노리사치계는 일본에 불경과 불상을 전해주었다.
  • 가야의 토기 제작 기술이 일본 에키 토기에 영향을 주었다.
  • 고구려 수산리 고분 벽화는 일본 카마쓰 고분벽화에 영향을 주었다.
  • 삼국 시대의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은 일본의 조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제작에 영향을 미쳤다.